- 유네스코 등재 과정
- 유네스코 등재유네스코 등재 과정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준비위원회 및 시장보고
-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 보고회 모습과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김승수 행정부시장
목적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용 자료 · 콘텐츠 구성, 공간 계획 등 기초 계획 준비
-
세계적이고 최첨단적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각계 전문가의 의견과 구축방안 수렴
아카이브 관련 경과 및 개요
-
1유네스코 등재 신청서 의무 사항 - 2015년 11월 25일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신청서 심사기준에 이카이브 구축에 관한 내용 있음
-
2권영진 시장과 김영호 명예이사장과의 협의 - 2015년 12월 12일
- 대구의 정체성 찾기에서 국채보상운동의 의미가 중요하여 아카이브 건립 협의
-
3 광주5·18기록관 벤치마킹 - 2016년 1월 27일
- 5· 18기록관과의 달빛교류세미나에서 아카이브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 인식
-
4 권영진 대구시장 지시 사항 - 2016년 3월 16일
- 업무 보고 자리에서 아카이브 콘텐츠를 개발해서 재보고하라는 지시
-
5 김익한 교수(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청 특강 - 2016년 3월 31일
- 아카이브의 세계적 추세 연구를 통한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구축의 가능성 타진
아카이브 준비회의 운영
-
4월 22일(금)부터 6월 17일(금)까지 5차례의 정례 회의를 통해 구체안 설계
-
아카이브 전문가(실무경험자, 연구학자) 초청 간담회를 통해 정보수집
시장보고 및 실무논의
-
주제 : 국채보상운동과 아카이브(안)
-
일시 : 2016년 7월 1일(금) 16시
-
장소 : 대구광역시청 별관 15층 회의실
-
주최 :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등재추진위원회
-
비고 : 부시장 참석
보고 결과
-
최종 보고서를 대구광역시장께 보고하고, 향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및 자료 기증식
- 기증받은 기록물로 기념촬영을 하고 계신 신동학 상임대표와 조원경 목사
주요내용
-
일시 : 2016년 6월 17일 (금) 16:00
-
장소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기획전시실
-
대상 : (사)나라얼연구소
기증 경과
-
1 5월 2일(화) (사)나라얼연구소 1 차 방문
“강화 장곶동 주민들에게 발급한 국채보상 의연금 영수증 1점” 수집 정보 획인
-
25월 1일(목) (사)나라얼연구소 2차 방문
“대구단연상채회에서 하양단연상채회에 보내는 총무 정규옥의 서신 1점", “안심면 회장 황석조 명의의 의연금 영수증 1 점”수집 정보 확인
-
35월 27일(금) 조원경 목사
- 2016년 국채보상운동 지역연구학술대회에 참가하여 자료기증 의사 표현
-
45월 30일(월) 조원경 목사의 동의 하에 위 3점 기록물을 2,475점의 기록유산에 포함하여 파리의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본부에 함께 등재신청
-
56월 14일(화) (사)나라얼연구소 3차 방문
신동학 상임대표 등이 조원경 목사, 황영례 소장과 MOU 및 자료기증식에 대해 협의, 대구광역시장께 보고하고,
향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기증식 내용
-
업무협약체결
-
자료기증
-
감사패 전달
-
인사말씀(신동학 상임대표, 조원경 목사) 및 소감발표(이명식 공동대표, 황영례 소장)
2016년 국채보상운동 지역 연구 학술대회
- 학술대회 개회사를 통해 의의와 감사의 뜻을 전하고 계신 신동학 상임대표
- 지역연구 방법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계신 한상구 박사
주요내용
-
주제 : 국채보상운동사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
일시 : 2016년 5월 27일(금) 14:00~ 17:00
-
장소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2층(기획전시실)
-
주최 :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등재추진위원회
-
후원 : 대구광역시
-
개요 : 2016년 4월 22일(금)에 특별세미나를 개최하여 최근 국채보상운동의 전국적 자료를 정리하신 한상구 박사에게 강의를 듣고, 국채보상운동 연구 범위를 확대시켜 2015년에 이은 전국 학술대회를 개최.
추진경과
- 2017년 12월 18일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시민보고회 개최(등재인증서 전달)
- 2017년 10월 31일
- IAC(국제자문위원회) 최종심의 결과를 유네스코 사무총장 이리나 보코바(Irina Bokova)가 등재확정 발표
- 2017년 10월 24일 ~ 27일
- IAC(국제자문위원회) 최종 심의(프랑스 파리)
- 2017년 10월 26일
- 충청지역의 국채보상운동 연구발표 세미나
- 2017년 8월 26일
- 국채보상운동 세계화를 위한 합창단 창단
- 2017년 7월 14일
- 국채보상운동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시민기부축제
- 2017년 6월 30일 ~
7월 28일
- 2017년 전국학생 만화캐릭터 경진대회 수상작 전시
- 2017년 6월 29일
- 여성의 국채보상운동 연구 발표 세미나(부산)
- 2017년 5월 13일 ~ 27일
- 국채보상운동 전국 순회 전시회 개최(제주도)
- 2017년 6월 25일
- 국채보상운동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2017년 전국학생 만화캐릭터 경진대회 개최
- 2017년 2월 21일
-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대구의 정체성 찾기 운동과 결부하기 위해 대구시민주간(2월 21일~28일) 선포하고 시민주간 지정함
- 2017년 1월 ~ 9월
- 유네스코 IAC 및 RSC 심사위원 대상 홍보
- 2016년 12월 31일
- 외국인용 국채보상운동이야기 영어판 발간
- 2016년 12월 31일
- 어린이용 국채보상운동이야기 ‘내 마음도 보태어 주시요’ 발간
- 2016년 12월 31일
- 어른용 국채보상운동이야기 ‘세계가 주목하는 국채보상운동’ 발간
- 2016년 12월 23일 ~
2017년 2월 28일
- 전국 특별 순회 전시회 개최(광주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및 국채보상운동 지역 세미나(12. 23.)
- 2016년 11월 09일
- IAC국제자문위원 세네갈의 파파 모마르 디오프(Papa Momar DIOP) 초청 특강(경북대 인문학술원)
- 2016년 10월 6일 ~
11월 30일
- 전국 특별 순회 전시회 개최(부산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및 국채보상운동 지역 세미나(11.4.)
- 2016년 9월 20일
- 제9회 서상돈 상 시상식
- 2016년 9월~12월
- 나라사랑 강사 양성 및 대시민 교육(연중 100시간)
- 2016년 9월 2일 ~21일
- 전국 특별 순회 전시회 개최(서울 예술의전당) 및 특강(9. 2.)
- 2016년 9월 05일~10일
- 2016년 ICA 서울총회 WS /전시회(6일간)
- 2016년 8월
- 영문판 도록 제작
- 2016년 7월 ~12월
- 영어 홈페이지 구축
- 2016년 7월
- 리플릿 제작(한, 영, 불, 중, 일)
- 2016년 5월 30일
- 파리 유네스코본부에 신청서 제출
- 2016년 5월 27일
- 국채보상운동 지역 학술회의
- 2016년 5월 24일
- 제2차 달빛학술토론회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과정’(대구)
- 2016년 3월 31일
- 아카이브 구축기초연구 및 대구시장 보고
- 2016년 1월 27일
- 제1차 세계기록유산 달빛학술토론회
- 2015년 11월
- 문화재청 국내심사 통과
- 2015년 9월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 대시민 보고회
- 2015년 9월
- 등재용 도록 한글판 배포(심사위원 및 추진위원 관계자)
- 2015년 8월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 제출
- 2015년 8월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여성포럼 개최
- 2015년 8월
- 대시민 교육을 위한 전문강사 양성과정 시행
- 2015년 8월
- 대구KBS 방송국 특별 TV토론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 신청의 당위성'
- 2015년 8월
- 추진위원회 자문단 전체 회의
- 2015년 8월
- 자문위원단 학술자문회의
- 2015년 7월
- 대구자원봉사포럼과 함께 하는 포럼 개최
- 2015년 7월 ~ 9월
- 국립대구박물관 주최 '애국의 길 국채보상운동' 특별전 개최
- 2015년 6월
- 지역연구 학술대회 개최
- 2015년 5월
- 국회 세미나 개최
- 2015년 5월
-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 전개
- 2015년 5월
- 추진위원회 시민 보고회 및 발대식 개최
- 2015년 5월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 결성
- 고문단(상임고문 권영진, 김관용, 서상기) 54명,
자문단(위원장 전택수) 39명,
추진위원(공동위원장 김영호, 문희갑, 신동미) 73명,
실무분과위원장 9명,
추진단 및 사무국(단장 1명 등) 구성 완료
- 2015년 3월
- 대구시장 방문, 취지 설명
- 2015년 3월
- 지역 국회의원 예방(서상기 국회의원) 및 국회 차원의 지원 자문
- 2015년 3월
- 시의회의장 및 문화복지위원회 예방, 자문
- 2015년 2월
- 문화재청 담당부서인 국제협력과 방문, 자문
- 2015년 1월
- 광주 518기록물, 새마을운동기록물 등재 관련 벤치마킹
- 2015년 1월
- 등재추진 TF팀 결성 (전문위원 1 명)
- 2014년 11월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세미나
- 2013년 5월
- 운영위원회에서 기록유산 등재 준비팀 결성
- 2013년 2월
- 정기이사회에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