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관람 신청
발생배경
국채보상운동발생배경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링크 프린트

1904년 한국을 경제파탄에 빠트려
일본에 예속시키려는 방법으로
강제적인 차관이 도입되었다

일제가 한국에서 수탈한 쌀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군산항에 쌓아둔 광경

1904년의 고문정치 이래 일제는 한국의 경제를 파탄에 빠뜨려 일본에 예속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정부로 하여금 일본으로부터 강제로 차관을 도입하게 하였다. 1905년 일본은 식민지 기초 작업의 제일보로 한국의 문란한 화폐를 정리한다는 명목으로 화폐정리채 3백만 원을 차입해 들여왔다. 이어 그 해 12월에는 화폐개혁에서 비롯된 공황을 구제한다면서 1백 5십만 원을 또 차입하여 들였다.

고율의 이자가 가산되어
격증되는 국채
2천만 민족이 국운의 절박함을 느꼈다

수탈한 면화를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목포항에 쌓아둔 광경

통감부 설치 이후 일제는 한국정부에 강요하여 교육제도의 개선, 금융기관의 확장정리, 도로 항만시설의 개수확충, 일본인 관리 고용 등 각종 명목으로 고이율의 차관을 들여오게 하여 국채가 격증되어 갔다. 이러한 일본의 계속된 차관공세로 인해 2년여 사이에 한국정부는 원금만 하여도 1천 6백 5십만 원에 달하는 채무를 지게 되었고, 해마다 늘어나는 이자 또한 상당한 금액이었다.

1907년 2월에는 당시 신채로 약 3백 5십만 원의 국채를 정리하여 1천 3백만 원이 남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국채는 당시의 국가 재정으로는 도저히 갚을 수 없는 고액이며 또한 그대로 둘 경우 해마다 고율의 이자가 가산되어 마침내 전국토를 일본에 빼앗기게 되고 2천만 민족은 그들의 노예가 되어 버릴 수도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국운의 절박함에 드디어 1907년에 이르러 거국적으로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한 것이다.